퇴사를 계획하고 계신데 퇴직금으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실껍니다. 일반적인 퇴직금 계산기로 계산할 때는 세전 기준이므로 실제로 수령할 때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알기 힘듭니다. 그래서 퇴직금을 일시수령할 때 세금이 얼마고 세후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후 퇴직금 계산기 퇴직금 일시 수령 시 세금은 얼마일까?
바로 퇴직금 세금이 얼마인지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퇴직금 계산기 세후, 세금 계산하는 법
퇴직금에 부과되는 세금을 퇴직소득세라고 합니다.
그래서 위에서 계산한 세전 퇴직금 계산한 값에서 퇴직소득세를 제외하고 나면 세후 퇴직금이 됩니다.
그럼 퇴직소득세를 계산하는 퇴직금 계산기 세후 금액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홈택스에 접속하여 퇴직소득 세액계산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빠르게 계산해보고 내 퇴직금이 세금떼고 얼마인지 알아보시죠!!)
퇴직소득 세액계산을 하기 전에 알아야 하는 지식들이 있는데
퇴직소득 과세표준과 근속연수공제에 대한 부분입니다.
이것은 일단은 퇴직소득 세액계산을 먼저 계산기로 돌려보고 나서 추가로 밑에서 더 설명을 해놓겠습니다.
퇴직금 계산기 세전
우선 기본적으로 네이버와 고용노동부의 퇴직금 계산기를 통해서 세전 퇴직금 금액을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서는 세전 퇴직금을 조금 더 간편하게 계산해보실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네이버 퇴직금 계산기로 세전 퇴직금을 쉽게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필요한 항목은 아래 4가지입니다.
1. 입사일과 퇴직일
2. 3개월 급여총액
3. 연간 상여금 총액
4. 연차수당
이렇게 입력하면 바로 예상퇴직금을 알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의 퇴직금 계산기를 이용해 봐도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는 엑셀파일로 저장도 할 수 있어서 조금 더 활용성이 높고
퇴직금 계산 예제로 어떻게 계산되는지에 대한 예시도 나와있으니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퇴직금 계산 예제는 아래와 같이 나와있으니 참조하시면 됩니다!
그럼 우리가 궁금한 퇴직금 세금은 얼마가 나오고 세후에는 퇴직금이 얼마가 될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위에 예제에 노란색으로 쳐놓은 부분에 힌트가 있습니다.
퇴직소득 세액계산기 사용방법
1. 기본 인적사항 입력하기
이름을 필수로 입력해 주시고 귀속 연도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귀속 연도의 시작일을 세금이 발생한 년도의 1월 1일로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24년도에 발생하는 세금이므로 24년 1월 1일로 설정)
2. 퇴직금여 현황 입력
회사이름과 위에서 세전 퇴직금 계산한 결과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만약에 중간지급을 받은 경우가 있다면 중간지급에도 값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3. 근속연수 입력
입사일과 기산일, 퇴사일, 지급일을 입력하시면 자동으로 근속연수가 계산이 됩니다.
이것은 나중에 근속연수 공제를 계산할 때 반영이 됩니다.
4. 과세표준 계산
위에 항목들을 입력을 하시고 계산하기를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세후 퇴직금 계산되어 나옵니다.
상세한 근속연수 공제와 과세표준에 대한 부분을 살펴보겠습니다.
근속연수공제
근속연수 공제는 근속연수에 따라 세금을 적게 낼 수 있게 환산급여를 계산할 때 공제를 해주는 금액입니다.
아래와 같이 5년, 10년, 20년 기준으로 근속연수 공제 기준이 달라집니다.
위에 예시로 계산해 놓은 것을 예로 들면
근속연수가 5년이므로 5 X 100만 원 해서 500만 원이 근속연수공제가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환산급여
다음은 환산급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환산급여 계산을 통해서 근속연수 공제를 적용하고 환산급여공제를 통해 합리적인 과세표준이 나올 수 있도록 만들어 놨습니다.
환산급여를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퇴직소득금액 - 근속연수공제)/근속연수 x 12
위의 예시로 계산해 보면
환산급여: (13,342,466 - 5,000,000)/5 x 12 = 20,021,918
여기서 하나 더 나오는 개념이 환산급여공제입니다.
위에 계산한 금액이 7,000만 원 이하이므로
환산급여공제 금액: 8,000,000 + (20,021,918 - 8,000,000) x 60% = 15,213,150입니다.
퇴직소득 과세표준
과세 표준은 퇴직소득 - 환산급여공제 금액으로 계산이 됩니다.
따라서 20,021,918 - 15,213,150 = 4,808,768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이제 기본 세율에 따라서 과세표준 금액에 세율을 곱하고 누진공제액을 빼주면 환산산출 세액을 구할 수 있습니다.
환산산출 세액: 4,808,768 * 6% = 288,526
산출세액(환산산출 세액/12 x 근속 연수) : 288,526 /12 x 5 = 120,219원
이렇게 세금을 구할 수 있습니다.
위에 세후 세금계산기를 돌리는 과정은 쉬운데 계산되는 과정을 이해하기 어렵다면
그냥 무시하시고 계산된 결과값만 보셔도 무관합니다!!
관련된 글 이어서 보기 ▼
'정보[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에어컨 청소비용 - 업체별 가격, 전세집 에어컨 청소 비용 누가 (0) | 2024.05.18 |
---|---|
K 패스 교통카드 신청방법 - 기존 후불교통카드 사용가능 여부 (0) | 2024.05.17 |
몽태랑 볼륨필링 세럼 - 주름개선크림 광고 하던데 효과있을까? 리얼후기 모음 (1) | 2024.05.16 |
퇴사 후 건강보험 피부양자 조건 (지역가입자, 임의계속가입제도) (0) | 2024.05.14 |
자발적 퇴사(이직) 실업급여 조건, 받는법, 계산기 (0) | 2024.05.09 |